나는 원래 책 읽는 것을 싫어했다.
그런데 2017년부터 책을 읽어보기 시작했는데... 지금은 책 읽는 것이 매우 편안하다.
책을 읽게 된 계기는 스스로의 계획보다는 외부의 자극에 의한 자아성찰이 계기였다.
이 이야기는 다음에 하기로 하고...
2017년도부터 2022년까지 읽은 책들을 Year Book Challenge라는 이름으로 OneNote에 정리했는데... 별거 없다. 그냥 OneNote에 읽고 싶은 책과 읽은 책을 정리한 게 다였다.

아래는 정리해 본 연도별 wishlist와 읽은 책(굵은 글씨)이다.
2017.
2017
원클릭 : 아마존닷컴 창립자 제프 베조스의 4가지 비밀
저커버그처럼 생각하라
린 인 Lean In
구글은 어떻게 일하는가
구글의 아침은 자유가 시작된다
메시 MESSY : 혼돈에서 탄생하는 극적인 결과
볼드 BOLD : 새로운 풍요의 시대가 온다
상식의 배반
전략의 역사1(3,000년 인류 역사 속에서 펼쳐진 국가-인간-군사-경영 전략의 모든것)
전략의 역사 2
세계미래보고서 2055
볼드 BOLD : 새로운 풍요의 시대가 온다
협업의 기술 : 소프트웨어 괴짜들을 움직이는 세 가지 법칙
스프린트 : 세상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 구글벤처스의 기획실행 프로세스
린 스타트업 : 지속적인 혁신을 실현하는 창업의 과학
애자일 & 스크럼 프로젝트 관리 : 어떻게 하면 팀이 자발적으로 움직이게 만들 것인가?
스크럼 Scrum : 팀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애자일 방법론
즐거운 협동적 게임과 스포츠
그릿 GRIT : IQ, 재능, 환경을 뛰어넘는 열정적 끈기의 힘
특이점이 온다(기술이 인간을 초월하는 순간)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오리지널스 : 어떻게 순응하지 않는 사람들이 세상을 움직이는가
지적자본론 : 모든 사람이 디자이너가 되는 미래
생각에 관한 생각 :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는 생각의 반란!
SPSS, 엑셀 2013으로 풀어 쓴 통계해례 : 이미지로 배우고, 눈으로 확인하는 통계원리!
빅데이터를 지배하는 통계의 힘 : 통계학이 최강의 학문이다
미래를 바꾼 아홉 가지 알고리즘
마스터 알고리즘 : 머신러닝은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는가
국가란 무엇인가
오직 두 사람
세이버메트릭스 레볼루션 : 통계는 어떻게 야구를 비즈니스로 바꾸는가?
1시간에 1권 퀀텀 독서법
빅데이터를 지배하는 통계의 힘 : 통계학이 최강의 학문이다
통계가 빨라지는 수학력 : 빅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기본 수학
인공지능 투자가 퀀트
딜러를 이겨라
매치메이커스
프로젝트매니지먼트
통통통 프로젝트 관리
넛지
수학 없이 배우는 데이터 과학과 알고리즘 : 모두를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
전략퍼즐(What I didn't learn in business school)
2017년도는 디지털 마케팅 에이전시에서 IT 프로젝트 PM을 담당하고 있었기 때문에 관련된 책들이 많이 있다. 그리고 그 시절 R&D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어서 통계에 문외한이었던 지라 통계 관련 입문 서적들을 좀 봤던 것 같다.
2018.
이제 2018년이다. 2017년에 못 읽은 책은 2018년 wishlist로 넘기고, 새로운 책들도 추가하면서 시작했다. 이때는 유튜브에서 지대넓얕(?) 채널이었던 것 같은데... 그 채널에서 어려운 책들을 읽어봐라라고 해서 2018년도 주제는 내가 불편한 영역의 책들을 골랐던 것 같다.
2018년 year book challenge - 어려운 책을 읽어라
웹마케팅 혁명
브랜드 스토리 마케팅
링크 :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전략의 역사 2
즐거운 협동적 게임과 스포츠
특이점이 온다(기술이 인간을 초월하는 순간)
SPSS, 엑셀 2013으로 풀어 쓴 통계해례 : 이미지로 배우고, 눈으로 확인하는 통계원리!
통계가 빨라지는 수학력 : 빅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기본 수학
넛지
[KAIST 명강]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KAIST 명강] 1.4 킬로그램의 우주, 뇌
쎈 수학 (중등 1) 상, 하
쎈 수학 (중등 2) 상, 하
쎈 수학 (중등 3) 상, 하
강준만의 역사산책 세트
읽으면 진짜 재무제표 보이는 책
스토리로 이해하는 암호화 알고리즘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4A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정관정요
퍼실리테이터 : 소통을 디자인하는 리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트리거
블랙 스완
JUnit in Action
Clean Code
이때는 불편한 책들을 많이 읽어보려고 했고, 개발에 관한 몇 가지 책들과 행동심리에 관한 책(넛지와 트리거 같은...)을 읽고 많이 읽지는 못했다.
일반적으로 1년에 14권 정도가 평균 독서 수준이라고 한다. 많이 읽으시는 분들은 어마어마하겠지만, 속독가가 아니고, 문맥 파악을 잘 못하는 수준에서는 한 달 한 권이면 편하게 읽는 수준이 아닐까 싶다.
2019.
2019년 year book challenge
전략의 역사 2
즐거운 협동적 게임과 스포츠
특이점이 온다(기술이 인간을 초월하는 순간)
통계가 빨라지는 수학력 : 빅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기본 수학
[KAIST 명강]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KAIST 명강] 1.4 킬로그램의 우주, 뇌
쎈 수학 (중등 1) 상, 하
쎈 수학 (중등 2) 상, 하
쎈 수학 (중등 3) 상, 하
강준만의 역사산책 세트
읽으면 진짜 재무제표 보이는 책
스토리로 이해하는 암호화 알고리즘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4A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예술
Coding The Matrix
Gof의 디자인패턴
Test-Driven Development: By Example 테스트 주도 개발
논쟁에서 이기는 38가지 방법
Junit in Action
Clean Code
이기적 유전자
결단
강원국의 글쓰기
이때는 회사를 옮겼던 시기이다. 역시 2018년도에 못 읽었던 책을 다시 추가하고, 새로운 책을 읽어보려 했다. 이기적 유전자, 결단, 강원국의 글쓰기 - 회사에서 초대한 강사로 강원국 선생님이 오셨고, 그때 질문을 해서 선물로 받았던 기억이 난다. 질문은 강원국 선생님이 읽으신 책 중에 추천해 주실 책이 있으신지요라고 물었더니... 선생님 답변이 "당연히 강원국의 글쓰기지요."라고 하셔서 분위기가 즐거웠던 기억이 있다. ㅎㅎㅎ -
2020.
2020년 year book challenge
Zero ㅜ.ㅜ
실제 "Zero ㅜ.ㅜ"라고 적었다. 불편한 사실을 피하기 마련인데... 피드백도 중요하다. 무엇을 못했는지 왜 못했는지...
2020년도에는 대학원을 들어갔다. 그러면서 아마 긴장을 했었고, 대학원 수업을 듣게 되면서 핑계가 생겼던 것 같다. 사실 바쁘기도 했었고...
이때 새로운 회사로 다시 이직을 해서(지금도 다니고 있는 클라우드 CSP) 아마 일에 좀 더 집중을 했던 것 같다.
2021.
2021년 year book challenge
코스모스
블록체인 무엇인가?
블록체인해설서
블록체인 에스토니아처럼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스틱!
초전설득
단순함의 기술
타이탄의 도구들
타이탄의 지혜들
이때 2020년도 Zero를 보고 반성하면서 대학원 생활 중에라도 수업 이외에 개인적인 책들을 읽어보자고 생각했던 것 같다. 이때 '글천개' 유튜브 채널에서 소개된 책을 몇 권 추가했던 것 같다.
2022년 year book challenge
초전설득
단순함의 기술
타이탄의 도구들
금리와 환율 알고 갑시다
NFT레볼루션
타이탄의 지혜들
2022년까지 정리하다가 중간에 대학원 졸업 준비로 정리를 못 했던 것 같다.
2022년에 읽은 책이 더 있긴 하지만 OneNote에 정리를 하지 못했다.
2023년이 되었으니 다시 한번 1년의 독서 생활을 회고할 수 있게 북 챌린지를 작성해 봐야겠다. 이렇게 정리해 보니, 북 챌린지 시작하면서 100권도 채우지 못했다는 게 남들 200권 1,000권의 이야기가 정말 대단하구나 하는 것을 느낀다.
'타이탄의 도구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정 분리 갤럭시 탭 살려내기... (0) | 2023.01.31 |
---|---|
타이틀리스트의 엄청난 선물! #1 Never Stop (0) | 2023.01.30 |
고생하고 욕 안 먹는 결혼식 축의금 데스크 보는 방법 (0) | 2023.01.28 |
일주일에 '4시간'만 일하기 (0) | 2023.01.28 |
뭐든지 해낼 수 있을 것 같은 시간. 자기 효능감의 시간(Self-efficacy Time)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