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탄의 도구들

연구 문제(Research Question) 제기

그루부기 2022. 12. 15. 22:41
728x90

논문 심사위원 피드백을 하면서 연구 문제 제기가 명확하지 않다는 의견이 있어, 연구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문제

사회과학에서 연구의 시작은 문제의 인식에서부터 시작이 된다.

사회의 문제점, 그리고 그것을 확인하고, 해결에 대한 제언까지 제공하는 게 사회과학 학술연구의 역할이 아닌가 싶다.

그렇게 때문에 문제의 인식은 연구의 명분을 갖게 해준다. 이러한 연구의 명분이 연구의 필요성이 되는 것이며,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명확한 연구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연구의 방향성을 결정하게 되고, 관련된 요인들을 연결하는 중요한 시작점이다.

연구 문제는 가치관이 아닌 과학적으로 검증이 가능해야 한다.

연구 문제는 과학적으로 검증 가능한 수준이어야 한다. 가령 '착한 사람은 오래 산다'를 검증하고자 한다면 과학적으로 검증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그러나 '연구 비용을 증가시키면 매출 성과가 늘어날 것이다'와 같은 문제는 정량적이고 과학적으로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구 문제가 될 수 있다.

과학적 접근이 가능한 연구 문제들은 주요한 요인 관계를 포함해야 한다.

'근로 시간과 매출의 관계', '마케팅 노출과 구매와의 관계' 와 같이 근로시간&매출, 마케팅 노출&구매의 관계처럼 요인 간의 관계성을 포함하는 질문이 연구 질문이 될 수 있다.

즉,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개념 간의 상관관계를 질문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 연구 문제라고 할 수 있고, 이것은 누구나가 보더라도 연구가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게 표현되어야 한다.

이렇게 연구 문제가 잘 정리가 되면, 이것이 가설을 세우는 명분이 되기 때문에 연구 문제 제기는 사회과학 연구에 있어서 중요하다.

참고 자료.

이훈영(2017),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제2판.

728x90

'타이탄의 도구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팩트풀니스', 침팬지보다 못한 인간  (0) 2022.12.28
결국 도전과 경쟁을 통해서만 성장한다. <러쉬>  (0) 2022.12.18
언리시(Unleash)  (2) 2022.12.12
레버리지(leverage)  (0) 2022.12.11
부의 법칙  (0) 2022.12.07